본문 바로가기

Design

아름다운청년 전태일기념관 설계: 윤정원 + (주)하우건축사사무소 "아름다운청년 전태일기념관"은 2019년 3월 완공되었으며, 2019년 4월 30일 정식 개관되어 1-3층이 전태일기념관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4층은 노동 허브로 사용될 예정이며, 5층은 노동권익센터가 입주하여 이용되고 있다. 리모델링 대상 건물은 1962년 종함건축연구소(김정수)가 서울은행 수표교지점으로 설계하여, 1980년대 후반 및 90년대 증개축이 이루어졌고, 증개축으로 인해 60년대, 70년대의 기억들이 다수 지워진 건축이었다. 우리는 2017년 공공건축가를 대상으로 하는 "노동복합시설리모델링" 현상설계공모에 당선되어 본 프로젝트의 설계를 담당하게 되었고, 건축물은 여러 과정의 입주자협의, 의사결정과정, 각종 심의 등을 거쳐 현재의 용도, 프로그램, 외관,.. 더보기
GROOVE GROOVE 대구 삼덕동 근린생활시설 Location DAEGU, Korea Height/Storey 16.3m / 4 floors Building area 79.1 m² Gross floor area 218.26 m² Building to land ratio 76.1% Floor area ratio 209.1% Structure Reinforced Concrete Exterior finishing FCB / Exposed Concrete Design period 2016.05 – 2016.08 Completion date uncomplete Most of old city centers in Korea have actual land uses in discord with registered properti.. 더보기
이문고가하부공간활용 공공공간조성 현상설계 [우수작] 참가자: 윤정원 (건축) + 김아연 (조경) + 황경주 (구조) 공공건축가 대상으로 "이문고가하부공간활용 공공공간조성 현상설계" 신청 안내를 받았을 때, 외국의 흥미로운 사례들만 그동안 접하다가 본격적으로 시범 사업들이 국내에서도 진행되는 것 같아, 재미있는 도전이 될 것 같고 동시에 대학과 같은 지역구 내에 위치하여 지역연계형 설계를 진행해보고 싶은 생각에 신청하였다. 그리고 지명받았을 때에는 개인적인 욕심들은 접고, 지역과 서울시립대 내에 있는 훌륭한 전문가들 간의 협업을 진행하는 과정을 전개해보고 싶어, 각 전공 교수님들께 접수 직전 말씀드리고 하루 만에 팀이 결성되었다. 짧은 기간 동안 아이디어 중심의 제안을 진행하도록 요구된 현상설계라 구체적인 설계안 발전보다는 브레인스토밍 위주로 학생들도 함께.. 더보기
FRONT FLEX 신촌도시재생 청년문화전진기지 현상설계 제출안 청년 스스로 만들어나가는 작은 움직임을 사회적 흐름으로 전환하기 위해 청년들은 어떻게 사회와 만날 수 있어야 하는가? 현재의 문화, 공간, 도시에 존재하는 질서는 청년 문화기획과 창작의 혁신에 대해 만족스러운가? 청년문화를 선도하는 ‘신촌’에 청년의 미래, 청년문화의 미래, 도시의 미래를 만들어나갈 ‘장’은 어떻게 제공되어야 하는가? 청년과 시민이 주체적으로 경험과 소통을 설계할 수 있도록 도와줄 수 있는 도시의 프론트를 선언한다...플렉스 프론트 이 프로젝트에서 가장 중점으로 생각한 것은 청년 문화기획자들과 창작자들, 그리고 여러 참여 주체들이 어떻게 사회와, 도시와 만나 소통하고 경험을 쌓아 그들의 미래를 개척하도록 도와줄 수 있도록 지원하는 시설을 만들 .. 더보기
노동복합시설 조성 건물 리모델링 설계공모 [당선작] 노동복합시설 조성 건물 리모델링 설계공모 [당선작] 서울시 공공건축가 5인을 지명하여 이루어진 "노동복합시설 조성 건물 리모델링 설계공모"에 하우 건축사사무소와 공동응모하여 당선되었습니다. 기존 건물은 1963년 완공된 서울은행 관수교지점 (김정수 설계)으로, 1980년대 외관 리모델링과 5층의 증축이 이루어진 콘크리트 라멘조 건물입니다. 현재의 모습은 1980년대에 흔하게 지어졌던 붉은 세라믹 타일의 대칭형 입면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새로이 리모델링된 건물은 노동권익센터 등의 업무공간, 청년노동자들의 스터디 및 회의 공간, 시민 편의공간, 전태일 기념관 및 노동관련 전시관, 이동노동자 쉼터로 사용될 예정입니다. 이러한 용도를 위해 설계안에서는 크게 세가지 개념을 제시합니다. 공공성을 위해 "도시와 건.. 더보기
여닫이 [한강예술쉼터 작가 공모 제안작품] 이촌한강공원 자연학습장 인근 잔디에서 아이들이 한강고수부지와 한강의 풍경을 직, 간접적으로 놀이를 통해 경험할 수 있는 기구를 제안한다. 한강공원에는 봄, 여름, 가을 아이들이 만끽할 수 있는 넓은 공간이 존재하지만, 정작 아이들이 놀이를 경험할 수 있는 장치나 인프라가 곳곳에 조성되어 있지 않아 아이들의 흥미를 끌어내기 쉽지 않은 공간이다. 본 작품은 아이들이 일상생활에서도 자신들의 시각으로 자율적으로 놀이 기구로 이용하는 “문”의 작동기제를 현실적이지 않은 스케일로 변형하고, 바람에 의해 파편적으로 회전하는 거울 플립닷을 설치하여, 다양하고 변화무쌍한 공간과 풍경을 제공하는 조형물이다. [디자인 개념] [original position] [after playing].. 더보기
공덕초등학교 본관 화장실 꾸미고 꿈꾸는 화장실 공덕초등학교 2015년 10월부터 학생들과 선생님들의 참여 속에 워크숍을 진행하여 의견 등을 수렴한 후, 학교 운영진과의 협의를 통해 운영의 편의와 분위기 향상을 위한 디자인을 제안하였다. 한정된 예산과 재료 선정 등에 대한 한계로 인하여 설계 과정에서 의도한 마감이나 색상 등이 모두 구현되지 못하였지만, 본관 화장실의 주 이용자인 저학년 학생들이 보다 화장실을 친숙하게 느낄 수 있도록 의도하였다. [3층 여자화장실] [3층 화장실 입구] [3층 여자화장실] [3층 여자화장실] [3층 남자화장실] [3층 남자화장실] [1층 화장실 입구] 연도 Year: 2015-2016 유형 Type: Interior 위치 Location: Seoul, South Korea 더보기
중계본동주민센터 공간개선사업 찾아가는동주민센터 노원구 중계본동주민센터 공간개선사업 민원 및 행정 중심의 공무원 공간에서 마을의 커뮤니티 중심공간으로 변화시키고자 서울시에서 기획한 찾아가는 동주민센터 공간개선 사업이 실시되었다. 사업의 주안점은 크게 5가지로, 언제나 열려있는 주민 공유공간을 마련하고, 마을·복지기능 강화에 따른 업무공간 및 상담공간을 재배치하고, 한정된 예산과 공간을 경제적이고 실용적으로 활용하고, 사용자 편의 중심의 유니버설 디자인을 적용하며, 주민과 전문가의 참여 및 협업을 통해 공간을 개선토록 하는 것이다. 중계본동주민센터 역시 찾아가는동주민센터 공간개선사업의 대상으로 선정되었고, 설계에 위의 계획 방향을 적용하고자 하였다. [중계본동주민센터 여건 및 현황] [설계주안점] [계획주요개념] [프로그램 영역변화]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