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UOS TAD | TAD OFFICE
UOS TAD는 서울시립대학교(University of Seoul) 건축학부 윤정원의 디자인 리서치 연구실입니다. 2021년 연구의 건축설계 실무 적용 및 확장을 위해 태드건축사사무소(TAD OFFICE Inc.)가 설립되었습니다. TAD는 Transdisciplinary Architectural Design의 약자로, 프로젝트 기반의 건축설계작업에 물리적 환경, 사회적관계, 생태 시스템을 변화시킬 수 있는 다양한 방법들에 대해 통학문적 접근 및 연구를 통합하는 것을 지향..
더보기Design
-
Convergent & Divergent Sanctuary 송도 국제도시 도서관 설계공모 제출안 송도 국제 도시 내에 위치한 새로운 도서관은 다양한 사람, 서비스, 기능, 지식 및 기술이 융합되고 발산되는 도시 속 배움의 쉼터로 구성되도록 제안한다. 새로운 공공 도서관은 지역 사회의 요구와 열망을 반영하도록 설계되어야 하지만 도서관 자료 대여 및 사용과 같은 전통적인 서비스를 계속 제공해야 한다. 지역 사회는 만나고, 공유하고, 배울 수 있는 서비스가 공공도서관에서.. 더보기
-
회기로5길에 대한 작은 아이디어: InterCross 본 제안은 서울특별시 내 저이용 도시공간에 대한 대상지 활성화 아이디어 공모에 제출하였던 것으로 학부생 2명과 브레인스토밍 중심으로 진행한 결과로, 입상권에 들지 못한 제안이다. 제안을 건축적으로 발전시키지 못하고, 프로그램 중심의 활성화 방안을 제시한 것에서 그친 결과라고 생각한다. 제안설명 본 공모는 서울특별시 내 저이용 도시공간 12개소와 그 일대 공공공간에 대하여 대상지를 활성화하고 활용도를 극대화.. 더보기
-
Bound 노원구 사회적경제지원센터 제3관 설계공모 제출안 이 프로젝트는 지난 수년간 지속적으로 가져왔던 프로그램에 대한 관심에서 그 설계공모에 지원하였으나, 공모지침과 가이드라인에서 요구되는 건축면적, 대지와 건축의 법적 제한 사항, 그리고 행정복합타운의 도시계획구상의 제약은 프로그램이나 공간에 대한 새로운 개념에 기초한 구상과 계획을 불가능하게 하였다. 이것이 설계공모에 임하는 건축가의 주요한 고민지점이다.. 더보기
-
성덕여자중학교 협동종합예술공간 서울시교육청 공간혁신사업의 일환으로, 성덕여자중학교에 협동종합예술공간을 조성하는 과정을, 학교 교장선생님, 교감선생님, 행정실장님 그리고 관련 동아리 및 학생회 학생들과의 워크숍을 통해 진행하였다. 설계대상 공간은 지하1층으로 이전에 가사실로 쓰던 공간이었고, 일반교실과 같은 천장고에, 실 가운데에 기둥이 두 개 위치하여, 공연장으로서 조성하기가 매우 까다로운 .. 더보기
-
아름다운청년 전태일기념관 설계: 윤정원 + (주)하우건축사사무소 "아름다운청년 전태일기념관"은 2019년 3월 완공되었으며, 2019년 4월 30일 정식 개관되어 1-3층이 전태일기념관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4층은 노동 허브로 사용될 예정이며, 5층은 노동권익센터가 입주하여 이용되고 있다. 리모델링 대상 건물은 1962년 종함건축연구소(김정수)가 서울은행 수표교지점으로 설계하여, 1980년대 후반 및 90년대 증개축이 이루어졌고, 증개축으로 인해 60년대,.. 더보기
-
GROOVE GROOVE 대구 삼덕동 근린생활시설 Location DAEGU, Korea Height/Storey 16.3m / 4 floors Building area 79.1 m² Gross floor area 218.26 m² Building to land ratio 76.1% Floor area ratio 209.1% Structure Reinforced Concrete Exterior finishing FCB / Exposed Concrete Design period 2016.05 – 2016.08 Completion date uncomplete Most of old city centers in Korea have actual land uses in discord with reg.. 더보기
-
이문고가하부공간활용 공공공간조성 현상설계 [우수작] 참가자: 윤정원 (건축) + 김아연 (조경) + 황경주 (구조) 공공건축가 대상으로 "이문고가하부공간활용 공공공간조성 현상설계" 신청 안내를 받았을 때, 외국의 흥미로운 사례들만 그동안 접하다가 본격적으로 시범 사업들이 국내에서도 진행되는 것 같아, 재미있는 도전이 될 것 같고 동시에 대학과 같은 지역구 내에 위치하여 지역연계형 설계를 진행해보고 싶은 생각에 신청하였다. 그리고 지명받았을 때에는 개인적인 욕심.. 더보기
-
FRONT FLEX 신촌도시재생 청년문화전진기지 현상설계 제출안 청년 스스로 만들어나가는 작은 움직임을 사회적 흐름으로 전환하기 위해 청년들은 어떻게 사회와 만날 수 있어야 하는가? 현재의 문화, 공간, 도시에 존재하는 질서는 청년 문화기획과 창작의 혁신에 대해 만족스러운가? 청년문화를 선도하는 ‘신촌’에 청년의 미래, 청년문화의 미래, 도시의 미래를 만들어나갈 ‘장’은 어떻게 제공되어야 하는가? 청년과 시민이 주체적으로.. 더보기
Research
-
Thermo-shading Virtual Conference Presentation 2020 CAADRIA Conference Proceeding Title: Thermo-Shading: Digital Design and Additive Manufacturing of SMP Prototypes Author: Jungwon Yoon and Seok-won Choi Date: August 5, 2020 https://youtu.be/_qGqRc0Q9fk 2020 CAADRIA Conference Presentation Video https://youtu.be/7FlVN_gAt5I Heat Test with Kinetic Shape-chaning of SMP Prototype Model 더보기
-
SMP Deployable Structure https://youtu.be/neJlop-bTxY SMP deployable prototype study - Porous Folding SMP models are presented as deployable prototypes manufactured via FFF 3d printing. The study categorized the deployable prototypes into 3 types: 1) porous folding; 2) solid folding; 3) frame folding. This research was supported by the Basic Science Resea www.youtube.com ICETAD 2019 | Proceedings of International confe.. 더보기
-
조적조의 내진보강을 위한 연성부 디자인 본 연구는 서울시립대 정책과제로 진행되었고, 책임연구자 김형준 교수님과 건축공학 권기혁 교수님 및 관계 기술사, 건축사 등과 협력으로 진행되었다. 연구 대상은 서울시립대학교 내의 대표 조적조 건축물인 경농관, 박물관, 자작마루이며, 이 세 건축은 근 대 건축의 사료적 가치가 크고, 전시공간, 수장고, 다목적 강당 등으로 현재 활용되고 있어 내진성을 확보를 위한 보수 및 보강이 요구된다. 우리 대학 내 대표 조적조.. 더보기
-
청년공간문화플랫폼시범사업 서울시 은평구 녹번동 5번지에는 2011년 질병관리본부가 오송으로 이전한 뒤 청년허브를 비롯한 여러 기관과 단체들이 입주해있다. 이 프로젝트는 청년허브의 요청으로 해당 부지에 장차 조성될 혁신파크의 조성 방향을 연구한 결과물이다. 혁신파크 조성의 기본 원칙을 세우고, 과거 질병관리본부의 궤적을 좇는 동시에 질병관리본부 직원들을 인터뷰하였으며, 여러차례의 포럼과 관련기관 방문조사를 거쳤다. 서울혁신파크.. 더보기
Publication
-
Performance Evaluation and Design of Thermo-Responsive SMP Shading Prototypes Sustainability 2020, 12(11), 4391; https://doi.org/10.3390/su12114391 (registering DOI) Smart materials with changeable properties responding to environmental changes are studied in architecture. Shape Memory Polymer (SMP) is preferred among available thermo-responsive smart materials for architectural applications because of its advantages of reaction temperatures, deformation patterns, shap.. 더보기
-
Design-to-fabrication with thermo-responsive shape memory polymer applications for building skins Citation: Jungwon Yoon (2020) Design-to-fabrication with thermo-responsive shape memory polymer applications for building skins, Architectural Science Review, DOI: 10.1080/00038628.2020.1742644 Acknowledgement: The figure above is derived in part from the manuscript in Architectural Science Review The Version of Record of this manuscript has been published and is available in Architectural.. 더보기
-
SMP Prototype Design and Fabrication for Thermo-responsive Façade Elements YOON, Jungwon. SMP Prototype Design and Fabrication for Thermo-responsive Façade Elements. Journal of Facade Design and Engineering, [S.l.], v. 7, n. 1, p. 41-62, nov. 2018. ISSN 2213-3038. ABSTRACT The aim to attain sustainability in the built environment introduced the innovative application of advanced material technologies for low-energy, but aesthetically intriguing, building design stra.. 더보기
-
List of Publications PUBLISHED ACADEMIC ARTICLES Jungwon Yoon (2020). Case Studies on the Design-Build Educational Programs for Material-oriented Digital Fabrications - Focusing on Clay and Ceramic -, Journal of KICA, vol.72, 225-236. Jungwon Yoon(2020). Current Pedagogy and Teaching Methods of Architectural Materials in Professional Architectural Degree Programs -Comparative Analysis of Courses in Korea and USA-,.. 더보기
Education
-
2018 세운짓기학교 re:SEWOON ultra:CONCRETE Within the realm of architectural education in the university, we target for students to acquire knowledge of not only design but also society and technology. Also, we desire to carry out the social mission to educate the general public on senses of design and places. To successfully accomplish such educational ambitions, we, educators as designers, need to teach oursel.. 더보기
-
Architectural Material - Concrete 2014-2017년의 4년간 서울시립대학교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2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건축재료 수업에 PBL을 도입하여 기본적인 재료에 대한 리서치, 사고의 발전, 실험을 접목한 과제들을 학생들과 진행하였다. 그 중 콘크리트 관련 과제들의 진행과정과 결과물들을 모아 소개하고자 한다. This volume is to introduce 2nd-year students' experimental works with concrete, prepared for the course "Architecture Mater.. 더보기